본문 바로가기

연구상용화동향

티모신 베타4 기반 치료제 개발 동향

티모신(thymosin)1966년 처음 추출되었다[1]. 흉선 호르몬으로 간주되었으나 나중에 세포이동과 조직형성에 필요한 G-액틴결합단백질로 확인되었다[2]. 티모신은 Tα, Tβ Tγ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. Tβ는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진핵 세포에 분포한다[3]. 지금까지 15가지 유형의 Tβ가 발견되었고, 인간에게는 Tβ4, Tβ10 Tβ15가 세가지 형태가 있다. 그 중에서 Tβ4는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가장 풍부하여 Tβ 총량의 70~80%를 차지한다[4]. 중추신경계가 발달하는 동안 Tβ4는 신경발생, 조직성장 및 대뇌반구접힘을 조절한다. 또한, Tβ4는 항 세포자멸 및 항염증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[5]. 지트리비앤티(GtreeBNT)는 미국의 리제넥스(RegeneRx Biopharmaceuticals)와 제휴하였고, 휴온스는 중국의 노스랜드 (Northland Biotech)에서 제휴로 Tβ4 기반 치료제를 개발중이다.

---

[1] Goldstein, AL, Slater, FD, White, A (1966) Preparation, assay, and partial purification of a thymic lymphocytopoietic factor (thymosin).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6: 10101017.

[2] Hinkel, R, Ball, H, DiMaio, M, et al. (2015) C-terminal variable AGES domain of Thymosin β4: The molecule’s primary contribution in support of post-ischemic cardiac function and repair.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85: 113125.

[3] Lee, SH, Zhang, W, Choi, J, et al. (2001) Overexpression of the thymosin β-10 gene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disrupts F-actin stress fiber and leads to apoptosis. Oncogene 20: 67006706.

[4] Huff, T, Müller, CSG, Otto, AM, et al. (2001) β-thymosins, small acidic peptides with multiple functions.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33: 205220.

[5] Zhang, Gui-hong, et al. "Protective effect of Tβ4 on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s and its developmental prospects." European Journal of Inflammation 18 (2020): 2058739220934559.